혹고니 몽골 번식지→국내 월동지 이동경로 첫 확인

김은경 2022. 2. 6.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혹고니가 몽골로부터 국내로 날아오는 이동 경로를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멸종위기종 혹고니가 몽골 번식지에서 국내 월동지까지 이동한 현황이 최초로 파악됐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성과가 크다"며 "앞으로 이동 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철새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철새 보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몽골 간 철새 보전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 성과
혹고니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혹고니가 몽골로부터 국내로 날아오는 이동 경로를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아시아 지역에서 번식하는 멸종위기종 혹고니의 번식지와 월동지 간 이동 경로가 확인된 최초 사례다.

오리과 대형 조류인 혹고니는 희귀한 겨울철새로, 몸은 전체적으로 흰색이고 주황색 부리의 아랫부분은 검은색이다. 국내에 30여 마리가 도래해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는 2017년도부터 몽골야생동물과학보전센터와 철새 보전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몽골 동부지역에 번식하는 철새의 이동을 추적해 혹고니의 이동 경로를 파악했다.

몽골 연구진은 지난해 7월 14일 번식지인 몽골 동부지역 '부이어호수'에 사는 혹고니 1마리에 위치추적발신기를 부착했다.

국가철새연구센터 연구진은 위치추적발신기가 부착된 혹고니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 결과 이 혹고니가 몽골의 번식지 인근에 머물다 지난해 10월 15일 이동을 시작한 것을 확인했다.

혹고니는 다음 날인 10월 16일 북한 두만강 하류 인근인 동번포에 도착했고, 4일 후인 10월 20일경 강릉으로 내려온 후 동해안 일대를 오르내리며 머물렀다.

12월 4일에는 서해안의 인천 영종도로 이동해 황해도 해안, 안산 시화호, 당진 삽교호를 거쳐 충남 보령 일대까지 날라와 현재까지 인근에서 월동하고 있다.

이 혹고니는 번식지를 떠난 지난해 10월 15일부터 올해 1월 12일까지 최소 2천691㎞를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멸종위기종 혹고니가 몽골 번식지에서 국내 월동지까지 이동한 현황이 최초로 파악됐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성과가 크다"며 "앞으로 이동 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철새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철새 보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bookmania@yna.co.kr

☞ 中매체, 첫 금에 안현수 코치 조명…"전설의 거성"
☞ 재택치료 후 사망 10대…방역당국 "증상완화로 격리해제"
☞ BJ잼미 극단 선택으로 사망…유족 "악성댓글로 우울증 앓아"
☞ 與, 李 지지 盧 성대모사 영상 삭제…野 "고인 명예훼손"
☞ 석관동 옥탑방서 60대 숨진 채 발견…코로나 양성
☞ 뮤지컬 '엑스칼리버' 배우 김준수 코로나 확진
☞ 올림픽 생중계하던 외신기자 고함치며 끌어낸 中보안요원
☞ 한국계 美배우 아콰피나, '흑인 말투 쓴다' 비판에 해명
☞ 공 맞았다고 "내가 네 친구야?" 학생 머리채 잡은 축구 강사
☞ "기름지고 소화 안돼"…올림픽 선수촌 메뉴 혹평 세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