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언론에 브리핑하겠다"던 文대통령, 올해는 딱 한번뿐..왜?

정진우 기자 2020. 11. 27. 16: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300][청와대24시]
[서울=뉴시스]박영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2020.11.27. since1999@newsis.com


“우리는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대한민국의 역사가 그것을 증명합니다. 전쟁의 폐허 속에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고, IMF 위기 속에 IT 강국으로 우뚝 섰습니다. 지금 이 순간도 방역으로 세계를 선도하고 있고 경제 대응에서도 기적 같은 선방을 보이고 있습니다.”

27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2050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우리 국민들의 위대함을 강조했다. 온갖 위기를 극복해왔고, 지금 겪고 있는 코로나19(COVID-19)도 이겨낼 것이라고 했다. 10개월 넘게 코로나와 싸우느라 힘들고 지친 국민들에게 전한 희망의 메시지였다.

청와대 참모진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 10분 동안 이어진 모두발언 중 문 대통령이 가장 하고 싶었던 얘기가 이 대목이었다. 문 대통령은 이처럼 매주 2~3회 각종 회의때 대국민 메시지를 낸다. 수석보좌관회의와 국무회의, 각종 기념식 등 공식적인 자릴 통해 국민에게 전하고 싶은 얘길 한다. 11월에만 이런 자리가 20회가량 됐다.

하지만 국민의 ‘질문’을 직접 듣는 자린 많지 않았다. 국민들의 궁금증과 생각을 직접 듣고 답하는 기자회견 방식의 자린 적었다. 기자가 지난 8월 청와대를 출입한 이후 한 번도 없었고, 올해엔 1월14일 신년 기자회견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국민들은 ‘국민적 관심 사안’에 대해 대통령에게 묻고, 그의 생각을 듣고 싶어한다. 기자회견 같이 각본에 짜여지지 않은 오픈된 자리에 대통령이 나와야 진솔한 얘기를 들을 수 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기자회견 자리를 마련하지 않고 있다. 왜 그럴까.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0 대통령 신년기자회견에 참석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0.01.14. dahora83@newsis.com


최근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이 극한으로 치닫는데도 문 대통령은 침묵한다. 국민들은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이 시도때도 없이 싸우는 게 이제 지겹다. 대통령은 도대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국민들은 궁금할 뿐이다. 부동산문제도 마찬가지다. 실수요자들마저 대출이 막혀 내집마련의 꿈을 버려야하는 상황, 전셋집을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사례, 온 국민을 잠재적 투기세력으로 여기는 듯한 관료들의 발언 등 민생을 책임지는 대통령에게 물어볼 게 산더미다.

일각에선 “문 대통령이 직접 답변하기 곤란한 문제가 많기 때문에 기자회견을 아예 하지 않는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대통령이 직접 각 사안마다 해법을 제시하기 쉽지 않은 탓에 얘기를 꺼내봤자 논란과 의혹만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여권 관계자는 “사건과 사고가 많은 대한민국에서 주요 사안마다 대통령이 직접 기자회견을 해야한다면 한달에 10번 이상은 해야할 것”이라며 “기자회견 자체가 국민의 갈증을 시원하게 풀어줄 수 없는 한계도 있다”고 설명했다.

야권에선 연일 문 대통령의 생각을 묻는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님, 제발 기자회견 좀 해 주십시오"라며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언론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횟수는 비공식적인 회견을 포함해도 9번에 불과하다"고 했다.

김기현 의원 얘기대로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신년 기자회견 3번을 포함해 대국민 대화와 같은 공식적인 간담회 형식으로 6번, 비공식으로 3번 등 모두 9번 회견 형식으로 언론 앞에 섰다. 정치권에선 전임 대통령들에 비하면 적은 횟수라고 지적한다. 한국기자협회의 기자협회보가 취합한 역대 대통령의 직접 브리핑과 기자간담회를 합친 횟수는 △김대중 전 대통령 150회 △노무현 전 대통령 150회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회 △박근혜 전 대통령이 5회 등이다.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수도권 병상 공동대응 상황실을 방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현장대응반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2020.08.28 scchoo@newsis.com


하지만 청와대는 기자회견만 반드시 소통하는 자리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올해 코로나19 발생으로 특수한 상황 탓에 기자회견 자체를 못했을 뿐이지 대국민 소통은 늘리고 있다고 강조한다. 문 대통령이 정책현장 간담회에서 기업인과 노동자, 전문가 등 문 대통령이 직접 국민들과 대화를 나눈다고 했다. 또 페이스북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국민과 소통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나서 곧바로 코로나19 사태가 터져 현실적으로 수백명이 모이는 기자회견을 하기 어려웠다”면서도 “언론보도와 여론조사 등을 통해 국민들이 궁금해하고 알고 싶어하는 분야는 적극 현장 간담회 및 각종 메시지를 통해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이같은 설명에도 아쉬움은 남는다. 대통령의 메시지가 쌍방이 아닌 한방향으로 흐를 수 있어서다.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만하고 끝내는 건 진정한 소통이 아니다. 대통령이 했던 말에 대한 국민의 생각과 의견을 다시 대통령이 듣고, 또 거기에 답을 해야한다. 그런 과정을 여러차례 거쳐야 소통이라고 할 수 있고, 국민의 궁금증도 풀린다. 그래서 기자회견 같은 방식의 쌍방향 소통이 필요한거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박근혜정부 시절의 ‘불통’ 시스템을 비판이라도 하듯 “오늘부터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 군림하고 통치하는 대통령이 아니라 대화하고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며 “주요 사안은 대통령이 직접 언론에 브리핑하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의 남은 임기는 이제 1년6개월, 아직 500일 넘게 남았다. 남은 임기동안 주요 사안에 대해 기자회견을 열고 직접 브리핑하는 대통령을 보고 싶다.
[관련기사]☞ 32명 집단변사 '오대양 사건'…인자했던 사장 박순자의 충격적 실체출동 여경에 "성기 안 보여줄 수가 없네"…60대 '벌금형'"외도했냐" 남편 중요부위 내리찍고 상처에 소금 뿌려…결국 살해속옷만 입고 몸매 자랑했는데…"너무 말랐다" 비판받은 여배우조민아, 임신 후 훈남 남편과 '찰칵'…"두 번 보고 결혼 확신"
정진우 기자 econpho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